본문 바로가기
정보알림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및 방법

by 정보 알리미 넘버원 2023. 5. 15.

청년도약계좌는 근로 ・ 사업소득이 있는 19~34세 청년의 중장기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입니다.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다가오는 6월 달에 가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 도약 계좌의 가입조건 신청기간 및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

매월 70만원씩 5년 동안 납입하게되면 약 5천만원, 10년 만기로 진행하면 월 최대 40만원씩을 보태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목돈을 만들 수있는, 정부에서 도와주는, 무엇보다도청년 전용 상품이기 때문에 많은 혜택이 있습니다.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꼭 메모해 두시기 바라겠습니다

 

가입자들은 본인 판단하에 주식형 ・ 채권형 ・ 예금형 등 3가지 투자 운용 형태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총급여가 연 3600만원 이하인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소득 요건별 가입 제한을 두지 않고, 개인소득 외에 가구소득 및 재산기준을 적용하며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의 지원 정도가 달라집니다.

한편, 청년도약계좌는 출시 전부터 뜨거운 관심과 함께 형평성 논란과 재원 조달 문제 등이 도마에 올랐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에도 정부가 당초 예상한 38만 명의 8배가 넘는 가입자가 몰렸는데요. 청년희망적금 출시 당시 일어났던 꼼수 문제도 있습니다. 가입 후에는 소득이 없어도 부모님이 대신 납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가입조건 신청기간 및 방법

가입대상은 만19세부터 34살까지 청년만 가입할수 있습니다. 만일 군생활을 만6년 이행했을 시 만40세 까지 가입가능합니다. 가입할 수 있는 기간은 6월부터 12월까지구요 월납입할 수 있는 금액은 40만원부터 70만원까지입니다. 적용되는 금리는3년간은 고정금리 2년간은 변동금리가적용되는 5년 만기 상품입니다.

나중에 수령하는 이자에대해서 과세율 15.4%가 면제되는비과세 상품입니다. 저는 여기에서 3년고정금리라는 부분이 조금 걸리긴 합니다. 왜냐하면 3년간 고정으로 가면 시장흐름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거든요. 그래도 6월 달 기준으로 하시는 금리보다는 높게 설정될 것 같으니까이 부분은 그냥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나이만 맞는다고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바로개인과 가구 소득조건도 맞춰 주셔야 됩니다. 개인 소득의 경우에는 개인 총 급여가 7500만원 이하, 가구는 중위소득 180% 이하여야 됩니다. 다만 소득이 없으신 분들은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기준중위소득

그러면은 내가내는 금액 외에 정부에서는 총 얼마의 금액을 지원을 해줄까요? 이것은 개인의 소득 구간에 따라서 조금은 다르게 되어 있는데요

지원금액 계산해보기

위의 표처럼 개인 소득 구간이 2,400만원 이하이신 분들 매칭비율을 적용시켰을 때 한도가 매월 24,000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내가 연봉이 2천만원 수준인데 매월 40만원을 납입을 했다면 40만원에 6%를 곱하면 24,000원이죠 즉 40만원 납입하면 정부에서 24,000원씩5년간 계속 납입을 해준다는것입니다.

이 연봉이신 분들은 50만원을 납입해도 정부에서 24,000원만 납입을 해줘요 . 내 연봉이 6천만원일 경우 매칭비율이 3%죠. 그리고 기여금 한도가 21000원입니다. 정부에서 주는 금액을 다 받으려면 70만원을 납부를 해야겠죠. 70만원 곱하기 3%가 21,000원이니까요. 내가 50만원을 납부를 했다면 정부에서 납입해주는 금액은 15,000원이 되겠습니다.

개인소득이 7,500만원이신 분들은 정부에서 별도로 지원금을 납입해 주지 않습니다. 다만, 이 상품 금리가 좋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이자에 대한 과세율 15.4%를 면제를 해주기 때문에 이 부분에 매력을 느끼시는 분들은 가입을 하셔도 좋을 것 같고요, 아니면 차라리이 금액을 다른 주식이나 펀드에 운영하실 분들은 그렇게 해주셔도 무방하겠습니다 .

주의사항

그 이유는 이 상품을 중도에 해약하게 되었을 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라는 점. 그리고 정부 기여금을 모두 뱉어내야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5년을 끌고갈 수 있는 분들만 이 상품을 가입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정부지원금이 적을수록 혹은 내 연봉이 높을수록 자꾸 다른 투자상품이 보일 거예요. 다시 말하면 해약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라는 뜻이겠죠. 가입 하실 때 심사숙고 하시길 바랄게요.

사람들마다 연봉에 따라서 특히 기회비용이 다르잖아요. 아무래도 정부 정책 지원이다 보니까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에요. 그래도이 부분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또한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상품 처럼 복지라던지 고용 목적의 상품들 이런 상품들은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

 

다만 청년 희망적금의 경우에는 동시가입이 불가능해요 그렇기 때문에 만기 후에 순차적으로 가입을 하셔야겠죠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청년 도약계좌 출시가 6월로 예정되어 있는데요 어느 금융기관을 통해서 가입할 수 있을지는 곧 공지될 예정인데 상품 신청이 시작되면 매월 2주간은 신청을 받고 그 후 2주간은 심사를 통해서 가입 여부를 확정짓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요즘 워낙 살기 팍팍하죠 목돈 만들기가 특히 어려운데요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정책이니 잘 활용하셔서 5천만원 적금은 어려워도 2-3천만원 정도의 목돈은 조금씩 만들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반응형